- 바로가기 메뉴
- 본문 바로가기
- 주메뉴 바로가기
1999-1941
1999년~1991년
-
1999.12.10
일산백병원 진료 시작
-
1999.12.09
제1회 인성인성대상 시상식. 김형석 교수, 한승헌 변호사. 가나안농군학교 수상
-
1999.10.30
상계백병원 개원 10주년 기념학술대회 개최
-
1999.09.03
상계백병원 수해지역 의료봉사
-
1999.01.29
백인제 박사 탄신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및 전기출판 기념행사
-
1998.09.17
서울백병원 한국위암센터 김진복 원장, 대학민국 학술원상 수상
-
1998.09.01
서울백병원 한국위암센터(김진복 원장) 개원
-
1998.04.08
부산백병원 감마나이프시술 500례 돌파
-
1998.03.16
상계백병원 진료의뢰 회송센터 운영
-
1998.02
서울(10일), 부산(12일), 상계백병원(6일) ‘나라사랑 금모으기’ 실시
-
1997.09.23
부산백병원 흉부외과 조광현교수팀, 부산경남 최초 심장이식수술 성공
-
1997.09.09
일산백병원 기공식
-
1997.09.01
상계백병원 3대원장에 이홍균 박사 취임
-
1997.09.01
상계백병원 간질센터 개소 및 기념 심포지엄 개최
-
1997.07.26
상계백병원 방사선종양학과 및 암치료센터 개소
-
1997.05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캠퍼스 개설
-
1997.02.28
상계백병원 척추센터 개설
-
1997.02.12
서울백병원 당뇨병환자 모임 ‘엄나무회’ 10주년
-
1997.01.04
상계백병원 기숙사 오픈(지하1층 지상6층)
-
1996.11.11
인당의학교육학술상 제정(백낙환 총장)
-
1996.11.11
서울백병원 P동(별관) 완공
-
1996.11
상계백병원 증축 완공(지하4층 지상18층 610병상)
-
1996.05.13
백병원 성형외과 제1차 베트남 의료봉사 실시
-
1996.01.24
부산백병원 임상약리센터 개소
-
1995.12.01
상계백병원 전산처방 및 전달시스템(OCS) 가동
-
1995.09.01
서울백병원 6대원장에 유원상 박사 취임
-
1995.05.18
부산백병원 안과 엑시머레이저 시술 100회 돌파
-
1995.04.01
부산백병원 교직원 연수교육 실시(한달간)
-
1995.02.11
서울, 상계백병원 교직원 연수교육 실시
-
1995.02.08
부산백병원 전신수중치료기 도입
-
1995.01.01
부산백병원 시민건강교실 개최
-
1994.11.14
백중앙의료원 간호부 < 간호관리부 25년사> 출판기념회
-
1994.10.12
부산백병원 감마나이프 가동식
-
1994.06.01
장기이식연구소(부산백병원) 개설
-
1994.04.01
서울백병원 주차타워(P동) 착공식
-
1994.02.02
서울백병원 당뇨교실 500회 돌파
-
1994.01.01
백병원 원보 판형 변경(4×6배판 책자. 2만부)
-
1993.10.18
백병원-하이텔 건강정보 서비스 개설
-
1993.09.01
상계백병원 2대원장에 김관엽 박사 임명
-
1993.07.01
백병원 건물전체 금연구역으로 선정
-
1993.03.08
서울백병원 분자생물학연구소 개소
-
1993.03.01
인제의과대학 5대학장 김현찬 박사, 부산백병원 3대원장 박주열 박사 임명
-
1992.12
부산백병원 심장수술 1000례 돌파
-
1992.10.01
김해산업보건센터 개설
-
1992.09.21
서울백병원 고관절클리닉 개소
-
1992.08.14
서울백병원 외과 이혁상교수팀 말기간경변환자 대상 2번째 간이식 성공
-
1992.07.04
백병원 창립 60주년 기념 학술세미나 및 축하연
-
1992.07.01
상계백병원 3차의료기관으로 승격
-
1992.06.01
백병원 창립 60주년 기념식
-
1992.05.30
서울, 상계백병원 합동체육대회(장충체육관)
-
1992.03.26
백중앙의료원 사회봉사실 1회 심장병 및 안면기형 순회진료
-
1992.03.18
서울백병원 일반외과 이혁상 교수팀, 국내 최초 말기 간암환자의 간이식 성공
-
1992.09.01
서울백병원 5대원장에 이혁상 박사 취임
-
1991.05.31
상계백병원 MRI 가동식, 강연회
-
1991.04.29
상계백병원 모자보건종합센터 개원
-
1991.03.01
인제의과대학 4대학장에 이순용 박사 취임
1990년~1986년
-
1989.10.30
상계백병원 개원식
-
1989.08.15
상계백병원 진료시작. 450병상. 초대원장에 함태영 박사
-
1989.02.28
인제대학교 초대총장에 백낙환 의료원장 취임
-
1988.11.09
부산백병원 성인병예방센터 개원
-
1988.10
종합대학 인제대학교로 승격
-
1988.09.02
서울백병원 88서울올림픽 선수촌병원 전담운영(9.2~10.5 의료진 68명)
-
1988.03.28
서울백병원 국내 최초 성형재건ㆍ안면기형교정연구소 개소
-
1988.03.01
서울백병원 제5대원장에 김용완 부의료원장 겸직
-
1988.03
서울백병원 암센터 치료방사선과 암치료 1천례 돌파
-
1988.01.18
상계백병원(서울 상계동 210번지) 기공식(450병상 연건평 9,828평)
-
1987.02.17
부산백병원 심장센터 개심술 100례 돌파
-
1987.02.11
서울백병원 흉부외과팀(김창호) 첫 관상동맥수술 성공
-
1986.10.28
인제대학 3대학장에 최하진 박사, 서울백병원 4대원장에 서광윤 박사, 부산백병원 2대원장에 장덕환 박사 임명
-
1986.10.15
백낙환 의료원장 회갑 기념 논문 헌정식 및 축하연
-
1986.09.05
서울백병원, 제10회 아시아경기대회 선수촌병원 운영(9.5~10.8 의료진 71명)
-
1986.02
제1회 서울, 부산, 상계백병원 신규간호사 합동연수
1985년~1981년
-
1985.09.23
부산백병원 흉부외과팀(조광현,우종수) 첫 심장수술 성공
-
1985.04.10
서울백병원ㆍ부산백병원 의료취약지구 의료봉사 실시
-
1985.02.22
인제대학 제1회(1984학년도) 학위수여식(의학사 55명)
-
1984.11
문교부로부터 대학원(의학과 정원 16명) 설립 인가
-
1984.10
문교부로부터 4개학과( 전산통계학과, 가정관리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각과 40명) 증설 인가
-
1984.06.19
부산백병원 암센터 개원
-
1984.06.07
인제대 김해 제2학사 건축허가
-
1984.05.29
인제대학 2대 학장에 신동훈 박사 취임
-
1884.04.03
서울백병원 종합건강진단센터 개원
-
1984.03.06
부산백병원 확장(142실 700병상)
-
1983.10.19
서울백병원 암센터 개원
-
1983.09
문교부로부터 자연과학부 3개학과(화학과ㆍ물리학과ㆍ생물학과 각과 정원 40명) 증설 및 인제대학으로 교명 변경 인가
-
1983.08.26
인제연구장학재단 발족, 이사장 장기려 박사 취임
-
1983.08.08
부산백병원 전산실 설치 완료(원무행정업무 전산화)
-
1983.06.15
백중앙의료원 연보 제2호 발간
-
1983.06
서울백병원 500병상 규모로 확장
-
1983.04.07
백낙환 의료원장, 국민훈장 수상
-
1983.03.17
백병원보 정기간행물 등록 (창간호 1975년 8월 15일)
-
1982.12
인제의과대학 일부 이전 교사 준공(의예과 교사로 활용)
-
1982.10.23
서울백병원 제1회 체육대회
-
1982.04.30
백병원 창립 50주년 기념식. 의학교육 세미나
-
1981.11
인제의과대학 일부 이전 교사 확보(김해시 어방동 소재 110,000평)
-
1981.03.02
인제의과대학 현판식
-
1981.01.12
부산백병원 심장병센터 개설
1980년~1941년
-
1980.07.15
부산백병원 내과 내시경 2,000회 돌파
-
1980.05.25
인제의학 창간호 발간(종설3편, 원저18편, 증례3편. 4×6배판)
-
1980.05.12
서울백병원 치과 진료 개시
-
1980.03.14
서울백병원 컴퓨터실 본격 가동
-
1979.11.27
부산백병원 통근버스 운영 및 전용 테니스장 계약
-
1979.10.12
인제의과대학 건물 착공
-
1979.09.01
부산백병원-부산국군통합병원 자매결연
-
1979.06.01
부산 최대의 인제의과대학 부속 부산백병원 개원(300병상)
-
1979.06.01
초대 원장 최하진 박사 취임
-
1979.03.15
제1회 인제의과대학 입학식(후기 80명), 초대 학장 전종휘 박사 취임
-
1979.01.28
제1차 학교법인 인제학원 이사회 개최
-
1979.01.28
백중앙의료원 발족. 백낙환 박사 초대 의료원장 및 서울백병원 원장, 김용완 박사 부의료원장 및 부원장 임명
-
1979.01.12
학교법인 인제학원 문교부 정식 허가 (설립자 대표 백낙조)
-
1979.01.10
문교부로부터 학교법인 인제학원 및 인제의과대학 (예과 2년, 본과 4년)인가(1년 정원 80명)
-
1978.12.08
서울백병원과 부산백병원을 부속병원으로 하는 의과대학 설립 신청을 문교부에 제출, 대학 명칭을 인술제세의 창립이념에 따라 인제의과대학으로 결정
-
1978.12.02
부산백병원 상량식(부지 3,766평 연건평 5,868평 지하2층 지상9층)
-
1978.09.11
노벨상 의학부분 수상자 Dr. Baruks Blumburg 특강
-
1978.04.01
부산백병원(부산진구 개금동 산53의1) 착공
-
1978.03
정부지원사업으로 백병원에서 부산공업단지 종합병원 설립 결정
-
1977.04.29
서울백병원 외과팀(백낙환, 이혁상, 김용일) 간 80% 절제수술 성공
-
1975.05
서울백병원 완공. 지하2층 지상13층 350병상, 국내 최대의 종합병원으로 성장
-
1974.12
서울백병원 군 전문요원 수련병원으로 인정
-
1974.01
서울백병원 인턴 및 레지던트 수련병원으로 인정
-
1973.02
서울백병원 인턴 및 단과 수련병원으로 인정
-
1972.03
1차로 150병상 16개 진료과 신설, 종합병원 발족
-
1970.12
백낙조(白樂朝) 박사 이사장 취임
-
1969.03
현 서울백병원 건물 착공
-
1961.01
백낙환 박사 3대 원장 취임
-
1957
단과(외과) 수련병원으로 인정
-
1951
백병원 2대 원장에 김희규 박사 취임
-
1950.09.28
백인제 박사, 동생 붕제 등과 함께 강제 납북
-
1946.11 백인제 박사 전 사재(私財)를 기부, 인술제세(仁術濟世)의 이념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민립(民立) 공익법인(公益法人) ‘재단법인 백병원(財團法人 白病院)’ 설립.
백인제 박사 설립자 겸 원장에 취임
-
1941.01.24
경성의학전문학교 외과 주임교수 사임 후 '백인제외과전문병원' 개업
-
1928.06.01
경성의학전문학교 외과 주임 교수
-
1927
경성의학전문학교 외과 강사 발탁
-
1921
경성의학전문학교 수석졸업
-
1916
경성의학전문학교(서울대 전신) 입학
-
1899.01.28.
백인제(白麟濟) 박사 평북 정주의 전통적인 문신 학자 집안에서 태어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