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현대화 바람과 위기의 서울백병원
오랜 우리 민족사 중에서도 한국전쟁은 가장 참혹한 시련 가운데 하나였다. 전쟁은 모든 것을 황폐화시켰다. 1952년의 백병원은 설립자 백인제박사가 납북되자, 존립이 위태로운 형편이었다. 온갖 어려움 속에서도 백병원의 옛 영광을 지키며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했지만 1950년대 후반 이후 백병원은 점차 쇠락의 길로 접어들고 있었다. 백병원이 중소병원 규모의 현상유지에 그쳤던 반면, 서울 곳곳에서는 신생 대규모 종합병원이 신설되었다. 이미 1950년대에 세브란스병원이 세워졌고, 길 건너편 명동 입구에 1962년 명동 가톨릭 성모병원, 1968년 필동 성심병원이 세워졌으며, 을지로 5가에 국립의료원이 신축되어 1960년대 중반까지 서울지역에만 이미 17개 사립병원과 69개의 병원이 들어섰다.
서울백병원, 모체병원으로 토대를 세우다!
7~8년 동안의 노력으로 어느 정도의 건축비용이 모였고, 백병원은 단과병원에서 종합외과병원으로 탈바꿈에 성공하여 예전의 모습을 어설프게나마 되찾아갔다. 하지만 주변에는 온통 최신식 빌딩이었다. 이제는 새로운 종합병원의 신축이 필요한 시점이었다. 재단이사회를 소집, 1960년대 초부터 구상하던 재건계획을 구체화하여 1967년 종합병원 백병원을 건립하기 위한 계획서를 작성하였다.
1970년 4월 1일 서울백병원의 현대화를 위한 착공에 들어갔다. 당시 백낙환 원장은 수술과 외래진료 속에서 틈나는 대로 병원 설계도를 보고 밤낮으로 일했으며, 사촌동생인 백낙조 박사가 독일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백병원이 악조건 속에서도 재건사업을 계획한다는 소식을 듣고 임상연구를 중단하고 귀국하여 함께 서울백병원 건설에 직접 뛰어들어 힘을 보탰다. 이후 백낙조 박사는 1979년에 재단법인 백병원을 발전시켜 백인제 박사의 숙원이었던 학교법인 인제학원을 설립하였으며, 초대 이사장에 취임하게 된다.
인제의대 설립과 부산백병원 개원
천신만고 끝에 1975년 서울백병원이 현재의 모습으로 완공하고 현대화되자 수익도 증가했다. 백병원의 직원들은 올바르고 성실하고 근면하게 병원을 운영함으로써 최고 수준의 병원으로 인정받았다. 서울백병원 점차 자리를 잡아감에 따라, 이를 바탕으로 제2의 도약을 계획하였다. 창립자 백인제 박사가 꿈꾸었던 교육 분야로의 진출이었다.
때마침 1977년 정부에서 민간병원의 건립을 지원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정부는 지방의 의료취약지구와 공단지역의 의료시설에 대한 지원을 하면서 의료기관에 행정·재정지원의 기회를 제공했다. 그래서 전국적으로 당시의 다섯개 대형병원이 나누어 지방의료시설 확충에 참여하기로 하여 백병원은 부산 사상지구를 맡게 되었다. 그동안 의과대학 설립과 제2,제3백병원 건설의 기회를 기다리던 우리에게 정부의 이런 제안은 희소식이었다.
당시 서울에는 의과대학이 7개나 있었고, 전남지역만 해도 2개의 의과대학이 있었지만 부산·경남지역에는 부산의대 한곳뿐이었다. 여러 곳을 답사한 끝에 현재의 개금동에 의과대학과 부속 부산백병원 부지를 장만하였는데 겨우 3,766평이었다. 지금은 지하철이 들어오는 등 변화가가 되었지만 당시의 개금동은 저소득층이 몰려 사는 곳이었다. 인구밀도가 높고 질병환자가 많아 의료수요가 많을 수밖에 없고, 또한 사상공단과의 거리도 2~3킬로미터 밖에 되지 않아 정부가 요구하는 조건에도 부합되는 부지였다. 1978년 3월 보건사회부는 부산백병원 설치를 확정하였고, 이에 맞춰 백병원에서도 지하1층 지하9층 6,225평(500병상)의 설계를 완성하였다.
의과대학의 설립과 부산백병원 건설공사는 일사천리로 진행되었다. 1978년 10월 문교부로부터 인제의과대학 설립계획이 승인되고, 1979년 1월 학교법인 인제학원 설립허가 및 신입생 80명 정원의 인제의과대학 설립인가를 취득하여 1979년 2월에는 80명 정원의 의예과 신입생을 후기로 선발할 수 있었다. (학교법인 인제학원 문교부 정식 허가. 1979.1.12. 설립자 대표 백낙조)
1946년 12월 17일 설립한 재단법인 백병원은 서울백병원과 부산백병원을 모체로 하는 학교법인 인제학원으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아울러 백중앙의료원이 탄생하였다. 학교법인 인제학원 초대 이사장에 백낙조 이사장, 백중앙의료원 초대 의료원장에 백낙환 이사가 선임되었으며, 초대 학장에는 창립자 백인제 박사의 수제자 중 한분인 전종휘 박사가 취임하였다. 학교명칭은 인술로써 세상을 구제한다는 백병원의 창립이념인 인술제세(仁術濟世)의 仁字와 濟字를 따서 '仁濟醫科大學'으로 결정하였으며 이는 창립자의 함자인 인제(麟濟)와도 음(音)이 같다.
부산백병원을 만든 사람들
1979년 6월 1일 부산백병원이 문을 열자 서울에서 유명한 백병원의 부산시대가 열렸다고 지방신문에 대서특필되었다. 종합병원이라고 할 만한 것은 부산의대 부속병원 밖에 없던 부산에 신기원이 열린 것이다. 부산의 중환자가 경부고속도로를 달려 서울까지 가지 않아도 되는 계기를 우리 백병원이 마련한 것이다. 환자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부산백병원을 찾았다. 개원을 하면서도 예상하지 못했던 폭발적인 반응이었다. 서울백병원의 명성을 익히 아는 부산시민과 인근 양산, 김해 등지의 환자들 덕분이었다. 덕분에 부산백병원은 개원 첫해부터 흑자를 내면서 부산 최고의 병원으로 빠르게 자리매김했다. 부산백병원이 부산에서 빨리 자리를 잡으려면 다른 병원과의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했다. 환자중심의 병원, 젊은 스태프들이 열성적으로 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내세웠다. 전직원에게 친절교육을 시켰고, 진료비나 입원비에 연연하지 말고 ‘무조건 진료’의 원칙을 내세웠으며, 개업의 등과 연계도 잘 갖추어 놓았다. 그래서 개인병원이나 다른 종합병원에서 다루기 힘든 환자가 옮겨오는 경우 최선을 다하였다. 또한 서울백병원 때부터의 원칙대로 응급환자는 절대 돌려보내지 않았다.
인제의과대학에서 종합대학 ‘인제대학교’로 발전
1979년 서울백병원과 부산백병원을 부속병원으로 하여 인제의대를 설립하였지만, 궁극적인 목표는 종합대학으로 발전시켜 민족의 대학으로 키우는 것이었다. 종합대학 설립은 이제 갓 설립된 의과대학의 입장에서 보면 요원한 과제였지만 1980년부터 장기발전 계획을 세워 차근차근 실천에 옮겼다.
첫번째 과제는 학교 부지의 확보였다. 그러나 종합대학을 설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10만평 정도의 부지를 부산 시내에서 구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후 김해와 양산 등지를 알아본 결과 자연경관, 진입로, 부지면적 등 종합적인 사항을 고려해 볼 때, 김해시 어방동 지역이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논의되었다. 20~30 만평을 목표로 하였지만 주변 지역은 토지 주인들의 수가 너무 많아 도저히 사들일 형편이 안되어 부족한대로 11만평의 현재 김해캠퍼스를 갖출 수 있었다.
학교부지가 확보됨에 따라 학과 증설 계획도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했다. 1982년 이사회에서는 교명을 인제의과대학에서 인제대학으로 변경할 것과, 물리, 화학, 생물, 국문, 영문, 일문, 경영학과 등 7개학과 각 40명 정원으로 증설할 것을 결의하여 문교부에 신청하였다. 문교부에서는 교명 변경안에 대해 1984년 3월 1일부로 인제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하라는 통보를 했으며, 학과 증설 안에 대해서도 1984 학년도부터 물리, 화학, 생물 3개학과, 각 40명의 신입생을 선발하도록 인가하였다. 이후 매년 학과가 꾸준히 증설되었는데, 1985년 4개학과, 1987 2개학과, 그리고 1988년 7개학과가 신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