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명 검색
-
심전도 검사 (Eelectrocardiography)
심장에서는 자체에서 전기가 만들어집니다. 몸의 표면에서 피부에 부착한 전극 판을 통해서 그 전기를 기록할 수 있고, 심장의 전기를 기록한 것이 바로 심전도입니다. 일반 심전도 외에 운동부하 심전도, 24시간 활동 심전도(홀터 심전도) 등이 있습니다. <span style="color: rgb(70, 70, 70
-
심장검사실 검사 안내
심장검사실에는 심장초음파 검사실을 비롯하여 말초혈류와 동맥경화 협착검사를 진행하는 혈관검사실과 부정맥 진단에 반드시 필요한 홀터(24시간 생활 심전도)검사실, 그리고 환자가 직접 운동을 하도록 유도하여 부정맥이나 관상동맥질환 유무를 진단하는 운동부하 검사실 등이 위치해 있습니다. 심장검사실에서 진행하는 검사 및 시술 등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심장초음파 검사
-
위내시경 (Esophagogastroduodenoscopy)
내시경을 삽입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 점막을 직접 눈으로 관찰하여 염증, 궤양, 용종, 암 등의 질환을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상부위장관 조영술과 달리 내시경 검사는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조직검사를 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우리나라는 위암이 흔한 나라이므로 내시경 검사는 위암의 조기진단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