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정보 조회결과
[진료과] 안과 [관련 신체기관] 눈
결막염은 눈 질환 중 제일 많은 병으로 눈이 조금 빨게지다가 마는 가벼운 것부터 결막이 썩어들어가는 아주 심한 것까지 다양합니다. 따라서 원인도 여러가지입니다. 대개는 별 탈없이 잘 낫거나 저절로 치유되기도 하지만 심해지면 실명을 초래할 수도 있는 아주 나쁜 눈병을 일으키게도 하니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서만은 안됩니다.
원인
결막염은 원인에 따라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감염성 결막염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곰팡이균) 등의 여러 가지 병원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며, 비감염성 결막염은 외부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과 같이 비감염성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 및 경과
사람에 따라서 느끼는 정도가 각각 달라서 어떤 사람은 참지 못할 정도로 아프고 일하기가 힘들 정도가 되기도 합니다. 본인이 느낄 수 있는 자각증상으로 통증, 이물감(눈에 무엇인가 들어있는 느낌), 눈곱, 눈물, 가려움증(알레르기성 결막염) 등이 있고,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으로는 충혈, 결막하출혈, 위막(가성막) 등이 있습니다.
눈이 아주 빨게지므로 보기 싫다고 안대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안대를 하면 눈 온도가 더 올라가 바이러스가 아닌 다른 세균이 더 잘자라므로 노란 눈꼽도 끼고 더 불편할 수도 있으니 안대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엷은 색안경을 끼든가 심하게 아플 때는 찬 찜질을 하면 좋습니다. 한쪽 눈이 앓기 시작해서 며칠 있으면 대개는 다른 쪽 눈까지도 옮게 됩니다.
대개 보름동안 앓고 난 뒤엔 다소 호전되지만, 심할 때에는 3주간 이상 경과되기도 합니다. 경과 중에 검은 자위인 각막엔 눈에 보이지 않는 점같은 흰 백태가 생길 때도 있습니다. 이때는 약간의 시력이 떨어지긴 하지만 대개 6개월 정도되면 대체로 깨끗이 없어집니다.
치료
치료의 목적은 증상 완화에 있으며 세균 감염이 함께 오는 것에 대비하여 항생제를 눈에 넣기도 합니다. 감염의 주변 전파에 주의해며, 병이 유행할 때는 자주 손을 비누로 자주 씻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약으로는 이차 세균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항생제 안약을 쓰는 것 외에 증상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항바이러스 안약을 같이 사용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