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백병원, ‘경기북부 무전극선 심박동기 최다 시술’ 기념식 개최
- 2025-05-12
- 80
일산백병원, ‘경기북부 무전극선 심박동기 최다 시술’ 기념식 개최
- ‘무전극선 심박동기 교육훈련센터’ 지정 · 중증 심장질환 치료 선도 병원 위상 강화
- 무전극선 심방동기, 합병증 63% 감소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심장혈관센터가 ‘무전극선 심박동기 교육훈련센터’로 지정되며, 경기북부 지역의 선도적 심장 시술 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일산백병원은 5월 9일 경기 북부 지여겡서 무전극선 심박동기 최다 시술과 교육훈련센터 지정을 기념하는 현판식을 개최하고, 관련 의료진의 전문성과 연구 성과를 대내외에 알렸다.
이날 행사에는 박준석 진료부원장을 비롯해 심장혈관센터 남궁준, 오현정, 조성우, 고규용, 김성은 교수가 참석해 센터의 향후 비전을 공유했다.
일산백병원은 이번 훈련센터 인증을 통해 무전극선 심박동기 시술의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는 ‘Center of Excellence(우수 의료기관)’로서의 자격을 갖추게 됐다고 밝혔다.
[사진] (좌)기존 심장박동기, (우)전극선 없는 무선 심박동기 전극선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는 2.6cm 정도의 캡슐 영양제 크기다. 기존 심박동기 부피의 10분의 1정도다. 절개 부위가 작아 시술 시간 짧고 통증이나 출혈, 혈종 등의 부작용이 발생 위험이 줄어 환자 회복도 빠르다.
◆ 기존 심박동기 대비 10분의 1 크기, 합병증 63% 감소
무전극선 심박동기는 기존 심박동기보다 크기가 10분의 1에 불과한 2.6cm 크기의 캡슐형 의료기기다. 가슴을 절개하지 않고, 허벅지 부위 대퇴정맥을 통해 심장(우심실)에 직접 삽입할 수 있어 시술 부담이 낮다.
기존 심박동기처럼 피부 절개 후 전극선을 삽입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시술 시간도 짧고 통증·출혈·혈종 등 부작용이 크게 줄어든다. 실제 국내외 연구 결과, 시술 후 1년간의 합병증 발생률은 2.7%로 기존 대비 63% 감소했으며, 시술 성공률은 99%에 달했다. 감염률 또한 0.17%에 불과해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무선 심박동기는 감염 위험도 낮다.
시술 대상은 ▲혈액투석 등으로 쇄골하정맥이 좁아진 환자 ▲여명이 길지 않은 환자 ▲감염에 민감한 고위험군 ▲흉터에 민감한 환자 등으로 다양하다.
남궁준 교수는 “심박동기 전극이 통과하는 혈관이 좁아 기존 심장박동기 삽입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무선 심박동기가 유용한 대안이 되고 있다”며, “시술 후 회복 속도가 빠르고 합병증이 적어 환자 만족도가 매우 높다”고 전했다.
◆ 경기북부 무전극선 심박동기 치료의 중심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은 무전극선 심박동기 도입 초기부터 활발한 시술과 연구를 이어오며, 현재 경기북부 지역 내 최다 시술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교육훈련센터 지정은 의료진의 숙련도와 병원의 인프라가 전국 최고 수준임을 입증한 결과다.
심장혈관센터는 앞으로도 전국 의료진을 대상으로 교육 및 시술 노하우를 전파하며, 서맥성 부정맥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계획이다.